[모바일 메타마스크] 코인(ETH) 네트워크를 변경하는 '메타마스크 브릿지' 이용하는 방법
이 글은 모바일 메타마스크에서 코인 네트워크를 변경하는 (ex. op 네트워크 -> 이더리움 네트워크)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실수로, 메타마스크에 다른 네트워크로 코인을 전송한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코인 관련 1대 1 오픈톡 상담 : open.kakao.com/me/hoonak
이메일 문의 : Hoonak1001@naver.com
코인 네트워크를 변경하는 '메타마스크 브릿지' 이용하는 방법
1. 빗썸 이용자들의 잦은 실수
"op네트워크 ETH로 메타마스크에 보냈습니다."
빗썸 이용자분들 중 메타마스크를 처음 사용하는 분들은 수수료를 싸게 ETH를 전송하기 위해 optimism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메타마스크로 코인을 전송하시는 경우가 종종 있다. 당연히 아무리 기다려도 메타마스크로 보낸 ETH는 보이지 않는다.
2. OP 네트워크로 보낸 ETH 찾는 방법
"OP 네트워크만 추가하면 된다."
- 좌측 상단의 이더리움 코인 모양 클릭
- 추가 네트워크에서 OP Mainnet 옆 '추가' 클릭
- 컨펌 클릭
- 네트워크 전환 클릭
이렇게 하면, 메타마스크로 보낸 다른 네트워크(ex. OP네트워크)의 ETH가 보일 것이다. 이제는 이 OP 네트워크의 ETH를 원래 사용 목적이었던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ETH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3. 메타마스크 브릿지
"코인의 네트워크를 바꾸는 방법, 포트폴리오의 브릿지를 이용"
- 포트폴리오 클릭
- 우측 상단의 줄 세 개 클릭
- 브릿지 클릭
- 위 사진을 보고 네트워크나 코인을 변경 후, Confirm 클릭
- 컨펌 클릭
조금 시간이 지나면, "Bridge to Ethereum complete" 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코인의 네트워크를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x. OP네트워크의 ETH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ETH로 변환)
4. 브릿지 꼭 써야 하나요?
"다시 거래소로 보냈다가 다시 네트워크 바꿔서 보내면 안 되나요?"
당연히 그래도 된다. 다만, 국내거래소로 다시 보내시는 경우에는 이더리움 네트워크 출금 수수료가 비싸기 때문에, 브릿지를 이용하는 것이 나을 수 있다.
요즘, 이더리움 가스비도 0.6 gwei수준으로 엄청 저렴하여 브릿지 이용으로 드는 수수료가 거래소 전송했다가 다시 메타마스크로 전송하는 수수료보다 저렴해 보인다.
코인 관련 1대 1 오픈톡 상담 : open.kakao.com/me/hoonak
이메일 문의 : Hoonak1001@naver.com
'메타마스크의 정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타마스크] 메타마스크에 입금했는데, 안 보이는 토큰 찾는 방법 정리 (3) | 2025.07.31 |
---|---|
[메타마스크] invalid transaction envelope type : specified type 0x2 but include a gasprice instead of maxfeepergas and maxpriorityfeepergas 문제와 해결 방법 (0) | 2025.05.20 |
[메타마스크 2025] 메타마스크 복구할 때, 알아두면 좋은 5가지 이야기 (2) | 2024.12.09 |
[메타마스크 2025] 메타마스크 고객센터, 실시간 채팅 상담원에게 문의하는 방법 (2) | 2024.11.23 |
[메타마스크] 메타마스크 활동 - 보류중(펜딩, Pending) 문제 해결방법 (7) | 2024.11.13 |
댓글